4월에 최대 240만 원 받는다! 3월까지 신청 안 하면 못 받습니다!

Advertisements

최신 뉴스 목록

3월부터 새롭게 달라지는 정책 9가지가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임업직불금 신청 기간이 다가오면서 많은 임업인 여러분이 궁금해하시는 신청 방법과 조건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지원금 받기 위한 핵심 조건과 함께 신청 일정, 필요 서류까지 빠르게 확인해 보세요.

임업직불급이란?

임업직불금은 임업인들의 안정적인 소득 보장과 산림의 공익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정부가 직접 임업인에게 지급하는 보조금입니다.

쉽게 말해, 임산물 생산업이나 육림업에 종사하는 임업인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정부로부터 현금으로 지급받는 지원금입니다.

2025 임업직불금 신청 일정

  • 온라인 신청: 2025년 3월 1일 ~ 3월 31일
  • 방문 신청: 2025년 4월 1일 이후 가능 ※ 지자체에서 문자 안내 예정, 사전 준비 필수!

신청 방법

  1. 방문 신청: 산지 소재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2. 온라인 신청: 임업인 통합포털 접속 후 신청

필요 서류

  • 임업직불금 등록신청서
  • 임업 경영체 등록정보 현행화 서류
  • 증빙자료: 영림일지, 거래내역서 등

※ 서식은 임업인 통합포털에서 다운로드 가능

신청 시 유의사항

  • 신청자와 수령자 동일해야 하며, 본인 명의 계좌번호 제출 필수
  • 직접 신청 원칙, 고령 임업인은 예외적 대리 신청 가능
  • 소유형 모임은 원칙적으로 본인 직접 신청만 가능

임업직불금 지급 조건

1️⃣ 대상 산지 조건

  • 2019.4.1 ~ 2022.9.30 사이 임업경영체 등록 산지
  • 단, 2022.10.1 기준 등록 무효 산지는 제외

2️⃣ 임업 종사 기간

  • 신청년도 직전 1년 이상
  • 연간 60일 이상 종사, 영림일지로 증빙 필수

3️⃣ 주소지 요건

  • 산지와 같은 시·군·구 또는 인접 지역 거주 필수
  • 외 지역 거주자는 임산물 생산 주업 기준 충족 시 가능

4️⃣ 임산물 판매실적

  • 연간 120만 원 이상 판매 증빙 필수
  • 가족·동일 임가 간 거래 불인정

5️⃣ 육림업 실적 요건

  • 신청 직전 10년 내 완료된 육림 실적만 인정
  • 지자체 보조사업 내용 불이행 시 실적 불인정

지원 금액

임업직불금은 임업인이 임산물 생산업 또는 육림업에 종사한 실적과 산지 면적 등에 따라 소득안정 직불금 또는 공익관리 직불금으로 나누어 지급됩니다.

1. 임산물 생산업 지원금액

  • 소규모 임가(3ha 미만): 연간 최대 120만 원
  • 일반 임가(3ha 이상): 연간 최대 240만 원

※ 조건 충족 시 임산물 판매 실적(연간 120만 원 이상)을 증빙해야 하며, 산지 소재지에 따라 거주 요건도 필수로 적용됩니다.

2. 육림업 지원금액

  • 육림 실적(조림, 숲 가꾸기 등)에 따라
  • 1ha당 최대 20만 원 ~ 40만 원 수준에서 차등 지급

※ 육림 실적은 신청 직전 10년 이내 완료된 실적만 인정됩니다.

신청 전 필수 확인!

  • 산지 형상 유지, 의무 교육 이수 등 의무사항 준수 필수
  • 의무 불이행 시 지급금 회수 또는 지급 중단 가능

2025년 임업직불금 신청을 위해 3월 온라인 접수, 4월 방문 접수 일정에 맞춰 미리 준비하세요.

자격 요건, 주소지 조건, 판매실적 증빙 등 꼼꼼하게 확인하고 원활한 신청을 통해 지원금을 놓치지 마세요!

Advertisements
Advertis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