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내면 안 됩니다! 바뀌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

최신 뉴스 목록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일정이 발표되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만큼은 내가 쓴 만큼 낸다고 생각하셨죠?
그런데 여러분이 ‘쓴 적도 없고 신청한 적도 없는 돈’이 매달 빠져나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금액은 작아 보여도 쌓이면 몇십만 원!
알아두면 피할 수 있는 자동출금 4가지 항목,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1. TV 수신료!

30년 만에 분리됐던 TV 수신료, 10월부터 전기요금에 다시 통합 청구됩니다.
TV 안 보시거나, 인터넷 모니터만 쓰는 분이라면?
안 내셔도 되는 돈입니다.
하지만 자동으로 빠져나가면 손해입니다.
- 월 2,500원 → 연 30,000원
- TV 없는데 내고 있었다면? 해지 가능!
해지 방법
- 한전 고객센터 ☎ 123
- KBS ☎ 1588-1801
- 아파트 거주자: 관리사무소 방문 후 신청서 작성
2. 장기수선충당금

전세나 월세 사시는 분들, 관리비 명세서에 ‘장기수선충당금’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건 건물 노후 대비 수리 비용을 집주인이 내야 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무심코 세입자가 내고 있다면?
- 이사 갈 때 집주인에게 청구 가능
- 월 5,000원씩만 내도 몇 년이면 수십만 원
- 10년 이내 청구 가능
→ 집주인도 모르는 경우 많기 때문에, 꼭 문서로 확인해서 요청하세요!
3. ATM 수수료

요즘 은행 지점 줄어들고 있죠.
현금이 급하게 필요해서 편의점 ATM 쓰면 수수료 1,100원 기본입니다.
하지만 알면 절대 안 낼 수 있습니다.
GS25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은행
CU / 세븐일레븐
- CU: 기업은행, 하나은행 등과 제휴
- 세븐일레븐: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일부 제휴
→ 단, 은행 영업시간 외에는 수수료 부과될 수 있으니 시간도 체크하세요!
4. 범칙금? 과태료?

신호 위반, 과속 적발되면 ‘과태료 vs 범칙금’ 중 선택하게 되죠.
많은 분들이 “범칙금이 만 원 싸네?” 하고 내시는데,
진짜 절대 내지 마세요!
범칙금
- 벌점 발생
- 5년간 교통위반 이력 남음
- 보험료 최대 15% 할증
과태료
- 벌점 X
- 보험 할증 X
- 금액만 내면 끝!
절대 만 원 아끼려다 수십만 원 더 내는 실수 하지 마세요.
항상 과태료 선택이 정답입니다.
매달 나도 모르게 빠져나가는 돈, 알고 막으면 연 수십만 원 절약 가능합니다.
특히 10월부터 부활하는 TV 수신료는 TV 없으면 해지 가능하고,
장기수선충당금은 세입자가 낸 경우 반드시 청구해야 합니다.
또한 ATM 수수료는 제휴 편의점 이용으로 피할 수 있으며,
과태료와 범칙금은 선택에 따라 보험료 할증 차이가 크니 신중히 납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