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내면 안 됩니다! 바뀌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

Advertisements

최신 뉴스 목록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일정이 발표되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만큼은 내가 쓴 만큼 낸다고 생각하셨죠?

그런데 여러분이 ‘쓴 적도 없고 신청한 적도 없는 돈’이 매달 빠져나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금액은 작아 보여도 쌓이면 몇십만 원!

알아두면 피할 수 있는 자동출금 4가지 항목,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1. TV 수신료!

30년 만에 분리됐던 TV 수신료, 10월부터 전기요금에 다시 통합 청구됩니다.

TV 안 보시거나, 인터넷 모니터만 쓰는 분이라면?

안 내셔도 되는 돈입니다.

하지만 자동으로 빠져나가면 손해입니다.

  • 월 2,500원 → 연 30,000원
  • TV 없는데 내고 있었다면? 해지 가능!

해지 방법

  • 한전 고객센터 ☎ 123
  • KBS ☎ 1588-1801
  • 아파트 거주자: 관리사무소 방문 후 신청서 작성

2. 장기수선충당금

전세나 월세 사시는 분들, 관리비 명세서에 ‘장기수선충당금’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건 건물 노후 대비 수리 비용을 집주인이 내야 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무심코 세입자가 내고 있다면?

  • 이사 갈 때 집주인에게 청구 가능
  • 월 5,000원씩만 내도 몇 년이면 수십만 원
  • 10년 이내 청구 가능

→ 집주인도 모르는 경우 많기 때문에, 꼭 문서로 확인해서 요청하세요!

3. ATM 수수료

요즘 은행 지점 줄어들고 있죠.

현금이 급하게 필요해서 편의점 ATM 쓰면 수수료 1,100원 기본입니다.

하지만 알면 절대 안 낼 수 있습니다.

GS25

  • 국민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은행

CU / 세븐일레븐

  • CU: 기업은행, 하나은행 등과 제휴
  • 세븐일레븐: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일부 제휴

→ 단, 은행 영업시간 외에는 수수료 부과될 수 있으니 시간도 체크하세요!

4. 범칙금? 과태료?

신호 위반, 과속 적발되면 ‘과태료 vs 범칙금’ 중 선택하게 되죠.

많은 분들이 “범칙금이 만 원 싸네?” 하고 내시는데,

진짜 절대 내지 마세요!

범칙금

  • 벌점 발생
  • 5년간 교통위반 이력 남음
  • 보험료 최대 15% 할증

과태료

  • 벌점 X
  • 보험 할증 X
  • 금액만 내면 끝!

절대 만 원 아끼려다 수십만 원 더 내는 실수 하지 마세요.

항상 과태료 선택이 정답입니다.

매달 나도 모르게 빠져나가는 돈, 알고 막으면 연 수십만 원 절약 가능합니다.

특히 10월부터 부활하는 TV 수신료는 TV 없으면 해지 가능하고,

장기수선충당금은 세입자가 낸 경우 반드시 청구해야 합니다.

또한 ATM 수수료는 제휴 편의점 이용으로 피할 수 있으며,

과태료와 범칙금은 선택에 따라 보험료 할증 차이가 크니 신중히 납부하세요.

Advertisements
Advertis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