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기초수급자 제도 이 3가지 꼭 확인하세요!

최신 뉴스 목록
정부에서는 생계가 곤란해졌을 때 지원하는 생계비가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6년 기초생활보장제도가 크게 바뀔 예정입니다.
정부가 발표한 내용을 기준으로 핵심 변화만 간결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수급을 준비 중이시라면 꼭 체크해두세요.
1️⃣ 생계급여 · 주거급여 기준 상향

급여 항목 | 기존 기준 | 2026년 변경 방향 |
---|---|---|
생계급여 | 기준 중위소득 30% | 35%까지 상향 예정 |
주거급여 | 기준 중위소득 47% | 50%까지 상향 예정 |
- 1인 가구 생계급여: 월 약 83만 원 예상
- 2인 가구 생계급여: 월 약 137만 원 예상
📌 생계급여 수급 기준 완화로 더 많은 가구가 대상자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항목 | 2023년 기준 | 2026년 방향 |
---|---|---|
연소득 | 1억 원 이하 | 1억 3천만 원 이하 |
재산 기준 | 9억 원 이하 | 12억 원 이하 |
💡 주요 변화
- 중증장애인 포함 시: 부양의무자 기준 적용 제외
- 지역별 공제 기준 확대
- 서울: 3억 6,400만 원
- 경기: 2억 9,400만 원
- 광역시: 2억 8,400만 원
- 기타 지역: 1억 9,500만 원
📌 그동안 부양의무자 기준 때문에 수급이 어려웠던 가구도 대상 확대 가능
3️⃣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항목 | 기존 | 2026년 개편 방향 |
---|---|---|
소득 환산율 | 100% | 10%로 대폭 인하 예정 |
적용 차량 기준 | 경차 중심 | 중형차까지 확대 적용 |
💡 완화 적용 사례
- 2000cc 미만
- 10년 이상 된 차량
- 차량 가액 500만 원 미만 → 일반재산으로 전환, 소득으로 계산되지 않음
예시)
- 기존: 차량 가액 600만 원 → 소득 600만 원으로 환산
- 2026년 이후: 차량 가액 600만 원 → 소득 60만 원만 반영
📌 자동차가 있어도 수급 가능해지는 사례가 크게 늘어날 전망
핵심 변경사항 요약 표
항목 | 현재 기준 | 2026년 변경 방향 |
---|---|---|
생계급여 | 중위소득 30% | 35% |
주거급여 | 중위소득 47% | 50% |
부양의무자 연소득 | 1억 원 이하 | 1억 3천만 원 이하 |
부양의무자 재산 | 9억 원 이하 | 12억 원 이하 |
자동차 환산율 | 100% | 10%로 인하 |
어디서 확인하고 신청하나요?
- 보건복지부 상담센터: ☎ 129
- 복지로 누리집: www.bokjiro.go.kr
- 주민센터 복지 담당 부서 방문 상담 가능
2026년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급여·주거급여 기준 상향,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등
수급자에게 직접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편될 예정입니다.
이제껏 수급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많은 분들이 앞으로는 새롭게 기초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당되는 분이라면 2026년 변경 내용을 미리 숙지해두시고,
신청 시점에 맞춰 빠르게 준비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