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상 준비 이렇게만 하면 충분합니다!

최신 뉴스 목록
소득 재산 상관없이 전국민 누구나 최대 30만원을 환급해주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추석을 앞두고 많은 가정에서 차례상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지역과 가정마다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원칙은 거의 비슷합니다.
최근에는 전통을 지키면서도 간소화된 차례상을 준비하는 것이 하나의 흐름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추석 차례상 차리는 기본 원칙과 간소화 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차례상 방향과 원칙

- 신위(위패)는 북쪽, 제사를 주관하는 제주는 남쪽에 위치
- 제주 기준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
- 차례상은 보통 5열로 차려지며, 병풍과 가까운 쪽이 첫 번째 열
1열 : 좌반우갱

- 왼쪽에 밥, 오른쪽에 국
- 떡국과 술잔 포함
- 간소화할 경우 떡국만 준비하기도 함
2열 : 전·적·국수·떡

- 면서병동: 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 적전중앙: 적과 전은 중앙
- 동두서미: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간소화 시 전·적 1~2가지로 준비
3열 : 탕류

- 동쪽에는 어탕, 서쪽에는 육탕
- 간소화 차례상에서는 많이 생략하는 경우가 많음
4열 : 포·나물·식혜

- 좌포우혜: 서쪽에 포, 동쪽에 식혜
- 생동숙서: 김치는 동쪽, 나물은 서쪽
5열 : 과일·과자류

-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 조율이시: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올림
차례상 간소화 팁
- 전과 적 종류는 대표 메뉴 위주로 최소화
- 떡국만 올려도 무방
- 탕류, 나물은 1~2가지로 간소화 가능
- 과일은 대표 제수용 위주로 준비
차례상은 음식의 가짓수보다 정성과 마음이 더 중요합니다.
올해 추석에는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가족 모두가 편안하게 준비할 수 있는 간소화된 차례상으로 의미 있는 명절을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