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거래 사기 당하지 않으려면 꼭 이렇게 하세요!

최신 뉴스 목록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일정이 발표되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중고거래 시장에서 ‘파혼 에디션’, ‘이혼 에디션’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파혼이나 이혼을 이유로 고가의 가전을 급처분한다며 접근해 돈만 빼돌리는 수법인데요. 피해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혼 때문에 가전을 급매한다

경북 포항에 사는 A씨는 중고거래 앱에서 이혼으로 혼수가전을 급처분한다는 판매자에게 냉장고·세탁기·에어컨 등 6종을 480만 원에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판매자는 제품 상차 사진, 주민등록증, 설치 기사 문자까지 조작해 A씨를 안심시켰지만, 실제로는 LG전자 서비스센터 조회 결과 ‘이전 설치 내역 없음’으로 확인됐습니다. 결국 판매자는 잠적했고, A씨는 신고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파혼 에디션·이혼 에디션 신조어까지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파혼 때문에 세탁기를 급매한다”는 글을 믿고 돈을 보냈다가 물건을 받지 못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사연을 팔아 돈만 챙기는 사기 수법을 비꼬아 ‘파혼 에디션’, ‘이혼 에디션’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네이버 데이터랩에 따르면 “당근 파혼 사기” 검색량이 급증했을 정도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교묘해지는 수법
사기꾼들은 단순히 사진만 올리지 않습니다.
- 서비스센터 설치 문자를 위조해 보내거나,
- 인터넷에 떠도는 LG·삼성 제품 사진을 도용하며,
- 심지어 중국산 저가 가전을 고가로 둔갑시켜 되파는 전문 수법까지 등장했습니다.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C2C 거래

문제는 C2C(개인 간 거래)라는 점입니다.
현행 소비자기본법과 전자상거래법은 B2C(기업-소비자)만 규제 대상입니다.
결국 개인 간 분쟁은 법적으로 제재가 어려워, 사기꾼들이 활개를 치는 상황입니다.
공정위는 최근 전자상거래법 개정을 통해, 분쟁 발생 시 법원에 개인정보를 의무 제공하는 제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피해자 입장에선 여전히 즉각적인 보호가 어렵습니다.
안전거래를 위한 예방법
- 선입금 절대 금지: “기사님이 설치해 준다”는 말은 100% 의심하세요.
- 플랫폼 내 안전결제 사용: 직거래 외엔 안전결제를 꼭 활용하세요.
- 제품·설치 여부 확인: 서비스센터에 직접 조회해 실물 거래인지 확인하세요.
- 의심 계좌 신고: 금융감독원·경찰청에 즉시 신고하세요.
- 비슷한 문구 반복 = 조직 사기 가능성: 여러 지역에서 같은 사진·문구라면 반드시 의심하세요.
중고거래는 편리하지만, “사연 팔이” 사기꾼들에게 속는 순간 큰 피해로 이어집니다.
특히 파혼·이혼 등을 앞세워 고가 가전을 급매한다는 거래는 무조건 의심하고, 반드시 안전결제와 실물 확인을 거치세요.
소비자가 깨어 있어야만 지갑을 지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