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25만 원,저소득층 50만 원, 추경안 이렇게 됩니다!

Advertisements

최신 뉴스 목록

3월부터 새롭게 달라지는 정책 9가지가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기다려온 추가경정예산(추경)이 드디어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급물살을 탔습니다.

여야는 3월 내 정부안 편성, 4월 국회 확정이라는 큰 틀에 동의하며, 빠르면 4월 말에서 5월 초 지급이 예상됩니다.

이번 추경은 코로나 이후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과 소상공인, 저소득층을 직접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2025 추경 주요 지원안

이번 추경은 크게 여당안야당안으로 나뉘며, 최종안은 국회 논의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 여당안: 저소득층·소상공인 ‘핀셋 지원’

1. 저소득층 지원금

  •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 등
  • 지급 방식: 선불카드 형태
  • 지급 금액: 1인당 최소 25만 원~최대 50만 원 차등 지급
  • 대상 규모: 약 270만 명

2. 영세 소상공인 지원금

  • 지원 대상: 소득 감소 피해 소상공인
  • 지급 금액:
    • 100만 원 상당 에너지 바우처
    • 시설·장비 구입비 최대 200만 원 추가 지원

👉 핀셋형 지원으로 취약계층의 생계 부담 경감내수 활성화 효과 기대

🟠 야당안: 전국민 25만 원 지원

1. 전국민 1인당 25만 원 지급

  • 지원 대상: 전국민 5,200만 명
  • 지급 방식: 지역상품권 형태
  • 총 예산: 약 13조 원

👉 경제 전반에 소비 진작 효과내수활성화를 목적으로 전국민 대상 직접 지원

추경 추진 일정

3월 말까지 정부안 편성

4월 국회에서 여야 합의 후 최종안 확정

4월 말~5월 초부터 지급 가능성 높음

✔ 추경안 규모와 지급대상은 국회 논의에서 세부 조정될 예정

신청방법 및 수령 절차

1️⃣ 저소득층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별도 신청 無 → 정부 보유 DB 기반 자동 지급
  • 지원금은 등록된 계좌로 직접 입금 또는 선불카드 발송

2️⃣ 전국민 지원안 확정 시

  • 온라인 신청: 정부 전용 웹사이트 오픈 → 본인인증 후 신청
  • 오프라인 신청: 주민센터 방문, 신분증 및 증빙서류 제출
  • 자동 지급 대상 제외자는 반드시 신청 필수

지원금 사용처 및 유의사항

여당안(선불카드)

  • 지역 내 가맹점 및 소상공인 매장 사용 가능
  • 내수활성화를 위해 대형마트·온라인몰 사용 제한 가능성 있음

야당안(지역상품권)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
  • 일부는 모바일 상품권 형태로 지급 검토 중

👉 사용처는 정부가 추후 상세 공지 예정

2025년 추경 지원금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할지, 저소득층·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한 핀셋 지원으로 할지 4월 최종 확정됩니다.

다만 여야 모두 어려운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현금성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은 만큼, 최소 25만 원~최대 100만 원 지원금 지급은 거의 확정된 상황입니다.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금 종류와 신청 방법을 미리 파악해 빠르게 신청 준비하시고, 정부 발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보세요!

Advertisements
Advertisements